728x90

 

 

 

  월트 디즈니는 카, 겨울왕국, 스타워즈, 토이스토리, 어벤져스, 미키마우스, 모아나, 인사이드 아웃, 아바타, 심슨네 가족들, 라이온 킹, 캐리비안의 해적 등의 프랜차이즈를 보유 중입니다.

 

  인사이드 아웃2의 전 세계 수익은 2조 원 이상으로, 역대 가장 흥행한 애니메이션 영화입니다. 인사이드 아웃2의 티저 영상 발표 이후, 130만 명 이상이 디즈니+에 가입하였고 인사이드 아웃1(2015)은 1억 회 이상의 뷰를 달성하였습니다.

  인사이드 아웃1의 전 세계 수익은 1조 1,700억 원 이상입니다.

 

  2024년 11월 모아나2가 개봉할 예정입니다. 모아나2의 티저 영상은 공개 24시간 만에 2억 뷰 가까이 달성하였으며, 이는. 역대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중 최고 기록입니다.

   모아나1은 2023년 미국 내 모든 플랫폼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된 영화였습니다. 2016년 개봉한 모아나1은 전 세계적으로 9,000억 원의 수익을 기록하였습니다.

 

  2026년 토이스토리5가 개봉할 예정입니다.

  각각 1조 4,000억 원 이상 흥행한 토이스토리3와 4를 포함하여, 5개 시리즈는 총 4조 5,000억 이상의 흥행을 기록하였습니다.

  토이스토리는 디즈니+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애니메이션 영화입니다.

 

  어벤져스:둠스데이와 어벤져스:시크릿워즈가 2026, 2027년 개봉될 예정입니다.

  어벤져스:엔드게임은 전 세계 수익 3조 9,000억 원으로 역대 영화 중 흥행 2위입니다.

  디즈니+에서 가장 많이 시청한 비애니메이션 시리즈입니다.

  마블 스파이더맨은 5,000만 장 이상 팔리며 역대 슈퍼히어로 비디오 게임 중 가장 성공적인 작품입니다.

 

  만달로리안&그로구를 포함한 3편의 영화가 2026~2027년에 개봉할 예정입니다. 

  2015~2019년 개봉한 최근 5개의 영화에서 총 8조 3,000억 원의 수익이 발생하였습니다.

  만달로리안은 현재까지 가장 많이 시청한 디즈니+ 오리지널 작품입니다.

 

 

  아바타 속편은 2025, 2029, 2031년에 개봉할 예정입니다.

  아바타는 4조 원, 아바타:물의 길은 3조 2,000억 원의 수익을 기록하여 각각 역대 영화 흥행 1위, 3위입니다.

  아바타:물의 길 개봉 이후, 디즈니+에서 아바타의 시청 시간이 1억 시간을 달성하였습니다.

 

  2022년 디즈니 크루즈선인 디즈니 위시가 출항하였으며, 2024년과 2025년엔 디즈니 트레저, 디즈니 어드벤처, 디즈니 데스티니 등이 출항할 예정입니다.

 

  디즈니의 DTC 스트리밍 사업 매출액은 계속해서 증가 중이며, 영업손실은 감소 중입니다.

 

  익스피리언스 사업은 팬데믹 이전의 실적을 월등히 뛰어넘고 있으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30% 가까이 증가하였습니다.

 

  월트 디즈니는 전 세계적으로 12개의 테마파크, 5척의 크루즈, 55개 이상의 리조트 및 호텔, 9개의 게임 프랜차이즈를 보유 중입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32조 원이며, 영업이익은 17% 증가한 5.8조 원, 법인세 차감 전 순이익은 4.3조 원으로 흑자전환하였으며, 희석 주당 순이익은 1,968원입니다.

 

 

  2024년 3분기 디즈니+의 미국 및 캐나다 구독자 수는 전 분기 대비 1.5% 증가한 5480만 명이며, 미국 및 캐나다 외 구독자 수는 약간 감소한 6350만 명입니다.

 

  주요 개봉 예정작으로는 에이리언:로물루스, 어 리얼 페인, 모아나2, 나이트비치, 무파사:라이온 킹, 컴플리트 언노운, 캡틴아메리카:브레이브 뉴 월드, 백설공주, 아마추어, 썬더볼츠, 엘리오, 판타스틱 4:퍼스트 스텝, 트론:아레스, 블레이드, 주토피아2, 아바타3 등이 있습니다.

 

  역대 애니메이션 영화 흥행 TOP 10 중 7개의 작품이 디즈니의 작품입니다.

 
사업별
매출액
비중
순이익
비중
엔터테인먼트
14.4조 원
45%
1.7조 원
28%
스포츠
5.9조 원
19%
1.1조 원
19%
익스피리언스
11.5조 원
36%
3조 원
53%
 
항목별
매출액
비중
구독료
6.2조 원
20%
제휴 수수료
5.8조 원
19%
광고
4.2조 원
14%
테마파크 입장료
3.8조 원
12%
리조트 및 휴가
2.7조 원
9%
상품 및 식음료 도소매
3조 원
10%
판매 라이선스
1.2조 원
4%
TV/VOD 배급 라이선스
0.9조 원
3%
극장 배급 라이선스
1.2조 원
4%
홈 엔터테인먼트
0.3조 원
1%
기타
1.4조 원
5%
 
지역별
매출액
비중
미주
25조 원
79%
유럽
3.5조 원
11%
아시아 태평양
3.1조 원
10%

 

728x90

+ Recent posts